본문 바로가기
부린이탈출하자

서울시 집값, 진성준의 말처럼 절대 안떨어질까? 덜덜

by 어른이되기 2020. 7. 17.

7/16 목 100분 토론 출연진 중 민주당 의원 진성준은 그 동안 우리나라 부동산의 가격이 잡히지않고 계속 오른 것에 하기 세가지 이유를 들었다.

 

1. 부동산을 경기조절의 수단으로 사용

2. 부동산 개발이익, 투기이익을 환수하는 장치 부족

3. 공공부분보다는 민간자본에 너무 의존했다.

 

그의 말을 빌려본다면 금번 부동산 정책 역시 경기조절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면이 있으며, 개발이익,투기이익을 환수하는 장치 마련으로 종부세 등 세금을 올리게 되었으며, 임대주택을 공급을 함으로써 민간자본보다는 공공부분의 공급을 늘리려는 시도로 보여진다.

 

다만, 방송이 마무리 될 무렵, "그렇게  해도 안 떨어질 겁니다" 라는 의미심장한 말! '읭????'

 

사실 그의 말이 중요할 수도 또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어보인다.

 

방송을 통해 현재의 부동산 정책을 설명하러 나온 국회의원이 정책에 의심을 품고 있다는 것. 이 부분에서 시청자와 국민들을 "읭??" 하게 만들었다. 충분히 논란거리가 될만함... 

 

그치만 솔까말, 정책을 만들었다고 다 성공하면 얼마나 좋겠냐만은, 사실 두고봐야 알 문제고 어찌될지는 시간이 흘러봐야아는 것. 고로 그의 생각하는 것이 집값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도 아니고, 그도 반신반의하겠지. 이런 생각도 든다.

 

그렇다면 우리 나라 집값 진성준의 말처럼 절대 안떨어질까? 얼마전 처음 실거주 한채 구매한 나에게 사실 초미의 관심사다.ㅠㅜ

 

주식을 할때도 한 전문가는 오를 것이라고 하고 또다른 전문가는 떨어진다고 하듯이 우리나라 부동산의 전망도 참 각양각색이다. 일본 아파트값 붕괴에 비추어 우리나라도 일본의 전처를 밟고 있다고 보는 것이 맞을까?;;;

 

1990년대부터 일본의 집값은 급격하게 하락하기 시작했습니다. 하락기가 시작되기 전 1980년 대 후반 일본 부동산은 66% 오른다.

 

 

반면 우리나라는 '부동산버블'이고 모두 말하는 지난 3년동안 약 15% 상승하였습니다. 물론 지역에 따라 상승폭이 굉장히 상이하지만 우리나라 전체 평균 15% 올랐다는 소리다. 그 사이 우리나라뿐아니라 세계 전반적으로 화폐가치가 하락하는 것을 감안하면, 다른 나라의 대도시에 비해 우리나라만 엄~~청 더 오른 것은 아닐텐데. 흠,

 

부동산이 비정상적으로 오르기를 바라는 것이 아니고, 합리적인 수준에서 안정되기를 바란다. 그렇다고 정부의 부동산 정책으로 부동산이 폭락하여 하락기를 이어 침체기가 오는 것 또한 성공한 부동산 정책이 아니라고 본다. 하락기,침체기가 온다는 것 자체가 반등의 여지를 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ㅠㅜ

 

과연 우리나라 부동산 어떻게 될까. 참으로 어렵고 궁금하구나.

 

 

 

댓글